황성공원 맥문동 식재 중단 및 생태복원 촉구

관리자
발행일 2022-05-24 조회수 458





천년 임수 ‘고양수(高陽藪)’ 보존대책 시급



황성공원 맥문동 식재 중단하고 숲생태 복원하라!



우리는 거대한 정원이 아닌 생명력 넘치는 숲을 거닐고 싶다. 황성공원은 본래 숲이었다. ‘고양수(高陽藪)’라 불리며 신라시대부터 관리해온 역사적인 숲이었다. 언제부터인가 황성공원은 여러 조각으로 잘리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빼앗겼고, 남아있는 숲마저 차츰 제 모습을 잃어버리고 거대한 정원으로 바뀌고 있다. 참으로 애통한 일이다.
경주시는 2015년부터 황성공원 솔밭에 맥문동을 식재하고 있다. 첫해 2,500㎡를 식재했고, 매년 그 규모를 확대하여 현재 18,700㎡로 솔밭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로인해 솔밭이 본연의 모습을 잃어버리고 있다.
소나무는 흙이 없는 바위에도 뿌리를 내려 푸른 생명력을 발휘한다. 우리는 이런 소나무의 기상을 좋아한다. 또한 땅에 뿌리내린 소나무도 뿌리를 땅 표면에 넓게 펼친다. 이 때문에 솔밭에 자주 드나들면 뿌리가 드러나 발길에 차인다. 소나무의 이러한 특성은 호기성 박테리아인 근균에서 영양분을 섭취하기 때문이다. 뿌리에 공생하는 근균이 공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소나무는 뿌리를 깊이 내리지 않는다. 그래서 남산처럼 바위가 많은 척박한 땅에서 소나무가 잘 자란다.
황성공원 솔밭에 맥문동을 대규모로 식재하면서 소나무의 식생환경이 위태로워지고 있다. 맥문동을 인위적으로 식재하여 가꾸면서 솔밭의 표층이 두꺼워지고 부영양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소나무는 근균이 활성화되지 못해 영양분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한다. 또한 맥문동을 식재한 구간에서 소나무 가지치기가 과도하게 이뤄지고 있다. 아마도 햇살이 잘 들어와 맥문동 꽃을 돋보이기 위한 가지치기로 보인다. 이대로 두면 황성공원의 솔밭이 큰 위기를 맞게 된다. 맥문동 식재를 중단해야 한다.
경주시는 황성공원 솔밭의 맥문동 식재 이유를, ▷맥문동 개화로 인한 볼거리 제공 ▷수목 식재지 및 보행로 분리 효과 ▷소나무 식재지 답압으로 땅이 굳어지는 현상 방지 ▷토양의 물리성 개선 및 미생물 서식처 제공 등으로 밝히고 있다. 요약하면 꽃구경 및 소나무 보호이다. 그러나 앞서 지적한 대로 맥문동 식재가 오히려 소나무를 위태롭게 하고 있다.
맥문동 식재는 소나무를 보호하는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솔밭은 휴식년 도입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보호할 수 있다. 꽃구경도 황성공원을 즐기는 올바른 방법은 아니라고 본다. 황성공원은 정원이 아니라 숲이다. 자연의 생명력을 다양하게 회복할 때 본연의 아름다움을 발할 수 있다. 시민들은 본연의 울창한 숲에서 진정한 치유를 받을 수 있다.
옛사람들은 마을 주변의 특수한 기능을 지닌 숲을 ‘임수(林藪)’로 지정하여 보존 관리했다. 1938년에 간행된 [조선의 임수]에 따르면 19개소의 임수가 경주에 있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 소실되고 계림, 교리택목, 나정, 낭산, 봉황대, 오릉, 고양수 등 7개소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보면 시민들의 생활권에 살아있는 임수는 고양수(황성공원)가 유일하다. 우리가 황성공원을 일반적인 공원이 아니라 숲 본연의 모습을 잘 보존해 후손에게 물려줄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황성공원은 본래 숲이었다. 우리는 거대한 정원이 아닌 다양한 생명력이 넘치는 숲을 거닐고 싶다. 맥문동 식재를 중단하고 솔밭을 본래의 생태계로 복원해야 한다. 더 나아가 황성공원 전체가 울창한 숲이 될 수 있도록 생태복원에 힘써야 한다.

2022년 5월 24일
경주환경운동연합




기자회견문 원문보기(클릭)





■ 황성공원 솔밭의 맥문동 식재 지역을 산책로를 경계로 다섯 구역으로 임의 구분.



    1,5 구역의 가지치기가 심하게 진행. 4구역은 과거 가지치기 실시.








Attachments

Comment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