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4.27.- 핵참사 후 24년, 제 2의 체르노빌은 없어야 한다

관리자
발행일 2010-04-27 조회수 6








지구의 벗


환경운동연합


www.kfem.or.kr






 


(110-806)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251번지 ▪ 전화 02)735-7000 ▪ 팩스 02)730-1240




 
















논평 (총 1매)





 


 



핵참사 후 24년, 제 2의 체르노빌은 없어야 한다




 



 


 



○ 지난 4월 26일은 구소련(현 우크라이나)에서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가 일어난 지 24년이 되는 날이었다. 아랍에미레이트 원전수출로 환호하고 녹색성장의 한 축으로 핵산업을 지원하고 있는 우리나라에게는 마음에 새겨야할 날이다.



 







 







○ 체르노빌 사고는 당시에도 수천 명의 노동자가 사망했고, 방사능 낙진은 전 세계로 퍼졌다. 결국 지금도 세대를 이어 수십만 명이 각종 암과 기형으로 고통 받고 있으며, 사고 주변은 기형물고기, 식물 등이 발생하고 있다. 사고 원전 중심으로 반경 30km는 지금도 출입이 금지된 오염된 땅이며, 사고 원전은 여전히 뒤처리가 끝나지 않아 우크라이나 정부는 국제사회에 경제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가 나기 전, 핵산업계는 이런 대형 사고는 백만 년에 한 번 일어날 정도로 확률이 적은 사고라고 단언했다. 하지만 인간이 개입되는 현장에서는 이런 확률이 별로 의미가 없다.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는 미흡한 안전문화로 인한 인적인 실수로 인해 발생했고 구소련의 비밀주의는 문제를 더 확산시켰다.



 









 









○ 단위면적당 원자력발전소 용량이 세계 최대이며 여전히 가장 활발하게 신규원전을 짓고 있는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고리 1호기 수명연장 안전성 분석 보고서, 경주 방폐장 안전성 분석 보고서를 공개하지 않는 비밀주의, 국제기구로부터 수차례 지적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원자력 진흥을 함께 담당하고 있는 원자력안전기관의 독립 문제 등 체르노빌 사고를 발생시켰던 상황이 여전히 한국에서 반복되고 있다.



 









 







○ 원자력발전소를 아무리 튼튼히 지었다고 하더라도 인류가 핵분열을 완벽하게 통제할 수 없으며 위험은 항상 도사리고 있다. 사회적 감시체계, 투명성이 보장되지 못하고 화려한 포장으로 덧씌워져 거침없이 확대되고 있는 한국의 원전산업이 현 생명을 물론 미래세대까지 위협하는 제 2의 체르노빌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









 


 






2010년 4월 27일




 












 


공동대표 김석봉․이시재․지영선 사무총장 김종남




 


 


*문의 :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 양이원영 국장(02-735-7000, 018-288-8402,

yangwy@kfem.or.kr

)


 


 









원본: https://m.cafe.daum.net/gjkfem/Gi4j/177

Comment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