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소식

필터
탈핵 에너지 전환
월성이주대책위원회 천막농성 10년, 토크 콘서트

2024. 9. 12. 18:30 동천동 오늘은책방 이주대책위원회 천막농성 10년을 맞아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 후원으로 환경운동연합 토크 콘서트를 개최했습니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어수선한 가운데 30여명의 시민이 행사장을 찾아주셨습니다. 참 고마운 일입니다. 행사에 참가한 에버트재단의 관계자도 감동 받았다는 후기를 남겼습니다.  이주대책위원회의 10년 투쟁이 많은 사람의 가슴을 움직였나 봅니다. 메인 발제는 김우창 박사가 맡았습니다.  김우창 박사는 대학원 연구가 한창이던 2020년 가을 양남면에 찾아왔습니다. 이곳에 방을 얻어 8개월을 살면서 월성원전 인근 주민들의 삶을 기록하고 인터뷰하고 문헌 조사를 하며 이주대책위원회의 각종 투쟁과 행사에 참여했습니다. 그때 기록한 내용을 바탕으로 2022년 봄, 주민들의 투쟁 이야기를 다룬 '원전 마을'을 경주환경운동연합과 함께 출간했습니다. 이번엔 박사학위논문 '핵이재민의 수용되지 않는 이주 요구: 월성 핵발전소 최인접지역 주민의 삶과 운동'을 들고 왔습니다. 논문 내용 중 이주대책위원회의 투쟁 부분을 발췌해 발제했습니다. 김우창 박사는 월성원전 주변 지역인 '동경주'를 (범위를 좀 더 넓히면 경주시를) "핵발전이 그 자체로 지배 이데올리가 되고, 견제와 감시 기능을 해야 하는 지자체와 대다수 시민사회조차도 핵발전에 종속된 에너토피아"라고 규정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민들의 삶과 운동을 바라보면, 근본적 탈핵보다 이주 요구가 자연스러운 선택지가 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일제 강점기가 생각났습니다. 독립이 늦어지면서 식민주의가 지배 이데올리가 됩니다. 이로써 다양한 집단이 출연합니다. 지배 이데올리기에 순응하며 어쩔 수 없이 하루하루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 지배 이데올로기 적극 협조하며 지배그룹에 들어가려는 사람(친일파), 지배 이데올로기에 맞서는 사람(독립운동), 지배 이데올리기에 맞서지는 못해도 적극 벗어나려는 사람들(만주 등 이주자). 물론 이주자에는 독립운동과 연계된 사람들이 많습니다. 일제 강...

2024.09.13.

탈핵 에너지 전환
원전마을 출판

후쿠시마 사고 11주년, 원전의 안전을 다시 묻는다   "월성핵발전소 옆에서 살면서 얻은 것은 오로지 몸의 병, 갑상선암뿐입니다." 2020년 11월 3일 국회의원회관 간담회실에서 황분희 씨가 한 말이다. 그녀는 1986년 경주시 양남면 나아리로, 남편 의 건강을 위해 요양 차 이사 왔다. 잠깐 머물다가 다시 나가려고 했던 이 마을에서 36년을 살게 되었다. 해당화가 피고 지척에 아름다운 바다가 있는 이곳이 좋아 쭉 살기로 한 것이다. 그러나 처음 이사 올 때에도, 그리고 한참을 사는 동안에도 월성핵발전소의 존재나 그 위험성을 제대로 알지 못했다. 정부나 한수원, 그 누구도 말해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저자 김우창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있으며, 핵발전소와 초고압 송전탑처럼 경성 에너지 체제가 지역 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비민주적인 행태를 조사하기 위해 8개월여간 이 지역에 머물며 현장 연구를 진행하였다. 월성 주민들 누구도 처음에는 그곳에서 배출되는 방사성  물질의 존재를 몰랐다. 그러다 후쿠시마 사고와 자신들의 몸에 기록된 질병의 기록을 통해 핵발전 소의 위험성을 깨닫게 된다. 이 주민들이, 안전한 곳에서 사랑하는 가족들과 행복하게 살기 위해 이주를 요구하는 모습들을 생생하게 기록했다.  우리의 아픈 몸, 병든 몸 그 자체가 증거다  핵발전소에서 배출되는 방사성 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역학조사는 있지만, 핵발전소 근처에 사는 주민들은 곧잘 핵발전소를 옹호하거나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사례처럼 핵발전소 건 설을 지지하는 사람들로 그려진다. 그러나 월성 이주대책위처럼 '핵발전소의 안전신화'에서 벗어나 핵발전소를 비판하는 주민들에 주목한 연구는 드물다. 어쩌면 여전히 핵발전소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가 강력하고, 무엇보다 위험성에 대한 과학적 혹은 사회적 합의가 부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우리의 아픈 몸, 병든 몸 그 자체가 증거다"라고 외친다. 60년 전에, 더는 봄에 울지 않는 새들의 침묵을 통...

2022.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