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언론보도

필터
황성공원 맥문동 인터뷰(KBS포항)
황성공원 맥문동 인터뷰(KBS포항)

황성공원 맥문동 식재의 문제점을 주제로 포항KBS 라디오와 인터뷰했습니다.(2022.6.3) 1> 먼저,‘맥문동’이 어떤 식물인지 소개부터 해 주시죠? - 길거리 화단에 맥문동 심은 것을 자주 볼 수 있음. 난초처럼 생겼는데, 유난히 잎이 많고 힘이 있어 보이면 맥문동 - 겨울에도 잘 사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약재로 활용되고, 여름에서 초가을까지 보라색 꽃을 피움 2> 여름이 되면 황성공원에 맥문동이 가득 펴서 시민들이 사진을 찍곤 하셨습니다. 시민들의 휴식처에 아름다운 꽃을 심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경주 환경단체에서는 어떤 이유로 ‘황성공원에 맥문동 심기를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 겁니까? - 황성공원은 본래 우리가 인공적으로 가꾸는 정원이 아니라 자연 숲이고, 1000년 전부터 우리 선조들이 잘 보존해 온 도심 속의 자연 숲 - 황성공원의 솔밭도 우리가 심은 소나무가 아니고 자연 솔밭, 우리는 자연 숲을 잘 보존해서 후세에게 물려줄 의무가 있음 - 맥문동을 대단지로 심어서 즐기는 것은 자연 숲을 잘 보존하는 것과는 거리가 매우 멀다 - 맥문동을 대단위로 가꾸면 결국 소나무에도 피해가 가고, 황성공원의 자연 생태가 망가질 수 있기 때문에 맥문동꽃 단지 조성에 반대 3> 사무국장님 말씀에 따르면‘황성공원에 맥문동을 대량으로 식재해 숲의 환경에 유해하다’는 말씀인데요. 황성공원에 식재된 맥문동의 양이 얼마나 되나요? - 2015년부터 황성공원 솔밭에 맥문동을 심기 시작, 첫해 2,500㎡ - 2022년 현재 맥문동 꽃밭 규모가 18,700㎡ 규모로 늘어남. - 축구장 2.6개 면적 4> 그럼 맥문동 꽃밭으로 인해 솔밭에 생긴 피해 규모는 얼마나 됩니까? - 아직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피해가 나타나진 않음. 다행이죠. 그렇기 때문에 지금 멈춰야 함. 소나무 고사 등 피해나 나타나면 이미 늦음 - 맥문동은 우리나라 자생종이고, 그늘에서 잘 자라는 식물 - 우리나라 곳곳에 솔밭이 많고, 삼릉에도 솔밭이 있음. 솔밭...

2022.06.03.

황성공원 맥문동 식재 중단 및 생태복원 촉구

천년 임수 ‘고양수(高陽藪)’ 보존대책 시급 황성공원 맥문동 식재 중단하고 숲생태 복원하라! 우리는 거대한 정원이 아닌 생명력 넘치는 숲을 거닐고 싶다. 황성공원은 본래 숲이었다. ‘고양수(高陽藪)’라 불리며 신라시대부터 관리해온 역사적인 숲이었다. 언제부터인가 황성공원은 여러 조각으로 잘리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빼앗겼고, 남아있는 숲마저 차츰 제 모습을 잃어버리고 거대한 정원으로 바뀌고 있다. 참으로 애통한 일이다. 경주시는 2015년부터 황성공원 솔밭에 맥문동을 식재하고 있다. 첫해 2,500㎡를 식재했고, 매년 그 규모를 확대하여 현재 18,700㎡로 솔밭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로인해 솔밭이 본연의 모습을 잃어버리고 있다. 소나무는 흙이 없는 바위에도 뿌리를 내려 푸른 생명력을 발휘한다. 우리는 이런 소나무의 기상을 좋아한다. 또한 땅에 뿌리내린 소나무도 뿌리를 땅 표면에 넓게 펼친다. 이 때문에 솔밭에 자주 드나들면 뿌리가 드러나 발길에 차인다. 소나무의 이러한 특성은 호기성 박테리아인 근균에서 영양분을 섭취하기 때문이다. 뿌리에 공생하는 근균이 공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소나무는 뿌리를 깊이 내리지 않는다. 그래서 남산처럼 바위가 많은 척박한 땅에서 소나무가 잘 자란다. 황성공원 솔밭에 맥문동을 대규모로 식재하면서 소나무의 식생환경이 위태로워지고 있다. 맥문동을 인위적으로 식재하여 가꾸면서 솔밭의 표층이 두꺼워지고 부영양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소나무는 근균이 활성화되지 못해 영양분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한다. 또한 맥문동을 식재한 구간에서 소나무 가지치기가 과도하게 이뤄지고 있다. 아마도 햇살이 잘 들어와 맥문동 꽃을 돋보이기 위한 가지치기로 보인다. 이대로 두면 황성공원의 솔밭이 큰 위기를 맞게 된다. 맥문동 식재를 중단해야 한다. 경주시는 황성공원 솔밭의 맥문동 식재 이유를, ▷맥문동 개화로 인한 볼거리 제공 ▷수목 식재지 및 보행로 분리 효과 ▷소나무 식재지 답압으로 땅이 굳어지는 현상 방지 ▷토양의 물리성 개선 및 미...

2022.05.24.